본문 바로가기
교육

초등학생 과기부 장관상 - 언제 어떻게 받을수 있는지?

by JLB 2023. 7. 11.

초6 첫째아이가 6월초에 과기부 장관상을 받았습니다.

학교 마다 다르지만 저희 아이 학교는 상장과 부상을 같은날에 주셨어요. 상장을 먼저 주고 나중에 부상을 주는 학교도 많더라고요. 초등학생에게 주는 과기부 장관상은 언제 어떻게 받을 수 있는지 (저와) 저희 아이의 경험을 공유합니다.

 

과기부 장관상은?

전국 초등학교마다 초6 학생들중 1명의 학생에게 과기부에서 주는 상입니다.

과기부에서 주는 상이므로 수과학을 잘 하는 학생 1명을 학교장이 추천을 합니다. 매년 4월 과학의 달이 지나고 상장과 부상이 나오기에 학교에서는 초5 학생들을 대상으로 2학기 후반부에 상을 받을 학생을 결정합니다. 학생이 결정되면 학교에선 그 학생에게 동의서를 보내고 부모님 서명을 받으면 절차는 끝이 납니다.    

 

 

미리 알고 준비하는 엄마들이 많다.

그렇더라고요. 저는 학군지에 살지 않아서인지 주변에서 들어본 적도 없고 전혀 모르고 있던 상인데 조금 늦게 이런 상이 있다는걸 알게 되었어요. 아이가 초5가 됐을때 알았으니까요. 따로 준비하지 않았는데 운이 좋게 (물론 아이의 실력이 뒷받침 된 것도 ^^) 상을 받게 되어 가족 모두 기뻐했습니다.

 

이 상을 미리 준비하는 엄마들은 저학년때부터 신경쓰더라고요. 저희 둘째 아이도 초3인데 얼떨결에 외부 과학대회 상장을 하나 받아서 5학년때 써 먹을수(?) 있을 것 같아요.

 

 

그럼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

학교마다 다르지만, (수)과학을 잘 하는 학생에게 주는 상이므로 대체로 비슷하더라고요.

저희 아이 학교는 수학도 포함을 시켰지만 과학만 보는 학교도 있을거에요.

교내 과학평가 점수, 교내 과학대회 수상 여부, 교육청 영재원, 대학부설 영재원, 외부 과학대회 수상 여부 등을 놓고 가산점을 주고 가장 높은 점수의 아이에게 상을 주더라고요.

 

저희 아이는 초등 내내 수과학은 모두 성적이 좋았고, 1년에 한번씩 교내 수학대회가 있는데 마침 5학년때 전교1등을 했어요. 영재원은 다니지 않았고, 과학 발명품 대회때 학교에서 상을 받았고, 교육청에서도 상을 받았어요. 제 지인을 통해 들으니 영재원을 몇년째 다니는데도 못 받는 아이가 많더라고요. 학교마다 1명씩만 주니 교육열이 높은 학군지에선 경쟁이 치열할 것 같아요. 그에 비해 저희 아이는 경쟁이 덜 치열해서 받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2023년 과기부 장관상 부상은 미니 현미경 입니다.

물시계가 나온 적이 있어서 저희 아이는 물시계를 기대했는데 ^^ 둘째 아이가 더 좋아하는 미니 현미경입니다.

 

과기부 장관상의 활용?

제가 아는바로는 딱히 어디 쓸데는 없다고 알고 있어요. 생기부에 기록을 할 수 있는것도 아니고요.

가족 모두 기분이 좋고, 잠시 아이의 어깨에 힘이 좀 들어가는것 정도?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