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은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려운 개념입니다. 많은 학자가 정확한 의미를 규명하고자 노력했지만, 성과는 요원합니다. 영재들 사이에도 지능의 차이가 있습니다. 오히려 영재들 사이의 격차가 더 큰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영재들의 공통된 특성들 있습니다.
영재의 전형적인 지적 특성
1. 나이에 비해 훨씬 풍부한 어휘력
2. 다른 아이들보다 훨씬 빨리 배운 읽기 능력
3. 말의 섬세한 의미에 대한 훨씬 깊은 이해력
4. 특정 주제에 대한 훨씬 높은 집중력, 시간, 깊이, 지구력을 보임
5. 기본 기능을 익히는 데 적은 연습량으로도 훨씬 빠름
6. 광범위한 관심 영역
7. 호기심이 발달해 있으며, 끝없이 질문함
8. 실험에 재미를 느끼며, 똑같은 일을 다른 방식으로 해보기를 좋아함
9. 생각이나 사물을 통상적이고 쉬운 방법과는 다른 형태로 해보려는 경향
10. 탁월한 유머 감각
우뇌 영재와 좌뇌 영재
지능 관련 이론 중 흥미 있는 내용으로 우뇌 영재와 좌뇌 영재가 있습니다. 모든 사람이 양쪽 뇌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한쪽 뇌를 다른 쪽 보다 훨씬 많이 사용합니다. 이런 사람들은 사고방식, 문제 해결, 성과, 지능에 있어 매우 다른 특성을 갖습니다.
좌뇌 위주의 사람들은 논리, 분석, 사실 세부 사항, 조직에 강한 면을 보이며, 문제에 대해 언어적인 해결 방법을 선호합니다. 반면 우뇌 위주의 사람들은 시각적인 도해, 이미지 사용을 선호하며, 다소 유연하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일을 풀어갑니다.
우뇌 인간은 우수한 미술가, 음악가, 물리학자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좌뇌 인간은 화학자나 회계사로서 우수할 것입니다.
일반적인 학과 성적이나 지능검사는 대체로 좌뇌적 특성에 관한 것입니다. 우뇌적 특성이나 지능에 대한 적절한 평가 지표가 아직은 미흡합니다. 특히 문제 해결에 있어 창조적인 접근 방식은 정형화된 검사로는 측정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지능 검사
지능검사는 시험 당시의 지적 능력과 잠재력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영재라 하더라도 항상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지능검사 결과는 아이가 처한 여러 가지 상황과 함께 평가돼야 하며, 그래서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전문 심리학자가 필요합니다. 이 전문가는 여러 가지 전문 해석 기법뿐 아니라 사람을 대하는 것에도 능숙해야 합니다.
전문가는 부모나 아이와 관련된 사람들에게 지능지수 자체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확정적인 것도 아니란 것을 설명해야 합니다. 지능지수는 아이의 영재성을 퍈별하는 참고적인 자료일 뿐입니다. 전문적인 견해를 통해 해석돼야 하며, 그렇게 된다면 상당히 의미 있는 예측도 가능합니다.
지능은 학업 성적과는 다른 것입니다. 따라서 지능검사 결과는 학과 성적과 비례하지 않습니다. 지능검사는 아이가 가진 잠재력에 관한 평가이며, 학과 성적에서 평가하는 것과 다른 특정한 능력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지능이 어느 정도 유전되는지, 환경에 영향을 받는지는 아주 오랜 논쟁거리였습니다. 전혀 다른 환경에서 자란 이란성 쌍둥이 연구를 통해 이에 대한 답을 얻으려는 많은 노력이 있었습니다. 연구 결과는 대체로 지능의 60~70%를 유전으로 봅니다. 영재성이 아주 특별한 환경 속에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영재 중 20~30%의 아이들은 평범한 이들의 자녀들입니다. 소수 인종이나 아주 특이한 생활 방식을 가진 부모에게도 비슷한 비율의 영재들이 태어납니다.
환경이 일정한 영향을 주는 것은 틀림없습니다. 좋은 양육을 받은 아이의 지능은 강화되고, 방치되거나 학대받은 아이의 지능은 떨어집니다. 좋은 정서적 영향을 받고, 지적 자극을 받으면 아이들의 지능은 발달합니다. 특히, 아이가 어릴수록 그런 영향은 큽니다. 지능지수 10~20 포인트까지 향상될 수 있습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재 아이 - 야단치지 말고 훈육하기1 (0) | 2023.03.09 |
---|---|
영재 교육 - 동기 유발에 투자하세요 (0) | 2023.03.06 |
우리 아이 영재일까요? (0) | 2023.02.24 |
혼자서 영어를 배우는 방법 (0) | 2023.02.22 |
영어 회화 학습 방법 및 개선 팁 (0) | 2023.02.21 |
댓글